Digital Tool/Braze

[Braze] Delay 개념 정리 (Calendar Days vs Days)

쥬니어헬퍼 2023. 2. 4. 21:25
반응형

브레이즈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후 의도한 {N 기간} 경과 후  맞춤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서, Canvas를 활용해 delay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브레이즈에서 쓰이는 용어들은 가끔 헷갈리곤 해서, 의도했던 경과 시간 이후 메시지를 세팅하는 과정에서 많은 혼란을 겪고는 하는데요, 한번 알아볼까요? 

 

Calendar days 와 Days의 차이는?

  • After Days at {시각} : 1 day = 24시간 단위 
  • After Calendar days at {시각} : 1 calendar day = 달력 기준 1일 단위 

(braze) canvas step delay 설정 기준별 use case

  • After 2 Days at 11:00 AM (at a specific time을 11:00 am로 설정한 경우)  
    • (Use Case) 2/4일 14:00에 캔버스에 진입(entry) 된 경우 2/7일 11:00에 다음 step으로 진입됩니다. 
    • 그 이유는, 1day가 24hr 단위 개념이기 때문입니다. 즉 캔버스 진입(entry)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(24hr 단위) 기준으로 일수가 카운트됩니다. 다만, delay의 다음 step으로 넘어가는 특정 시각을 설정했다면, 설정한 n day 시점 이후의 시각으로 다음 스텝이 넘어가게 됩니다. 
    • (예시) 2/4일 14:00에 entry된 모수는 2/6 14:00가 2 days 가 된 시점이나, 11:00 가 이미 지난 상태이기 때문에 그다음 날(익일) 11:00에 그다음 스텝으로 entry 될 수 있습니다.
  • After 2 Calendar days at 11:00 AM (at a specific time 을 11:00 am로 설정한 경우) 
    • (Use Case) 2/4일 14:00에 캔버스 진입(entry) 된 경우 2/6 11:00에 다음 step으로 진입(entry) 됩니다
    • 그 이유는 1 calendar day 는 달력 기준 1일 개념이기 때문입니다. 즉 캔버스 진입 시점으로 부터 경과시간 기준이 아닌, 달력 일수 단위로 일수가 카운트됩니다. 
    • (예시) 2/4일 14:00에 entry된 모수는 경과 시간과 상관없이 달력 일 수 기준 2일이 지난  2/6일 11:00에 다음 스텝(step)으로 넘어가게 됩니다.  

반응형